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정보처리기사실기
- MySQL
- 자바 반복문
- 항해99
- 자바 while문
- 자바 for문
- 자바 삼항연산자
- 자바 자동캐스팅
- 자바 공배수
- 자바 구구단 출력
- 변수
- 자바 조건문
- 자바 switch문
- 타입스크립트
- react ag grid
- java
- Vue3
- 자바 스캐너
- 자바 public
- 프로그래머스
- 항해99 2기
- 이클립스 DB연동
- react with typescript
- 자바 향상된 for문
- 자바 if문
- Til
- 조코딩
- 자바
- TypeScript
- 자바 강제 캐스팅
- Today
- Total
목록JAVA/java 이론 (23)
뇌 채우기 공간

이 포스팅에는 아래의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. 1. 오류의 종류 2. 예외처리의 목적 3. 예외의 종류 4. 예외클래스 5. try- catch- finally 5. RuntimeException의 종류 * NullPointerException *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* NumberFormatException * ClassCastException 6. 다중catch 7. thorws 8. throw 9. 사용자 정의 예외 1. 오류의 종류 *에러Error - 의도치 않게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것 - 하드웨어의 잘못된 동작 또는 고장으로 인한 오류(정전, 베드섹터 등) - 정상 실행상태로 돌아갈 수 없음 *예외Exception -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또는 개발자의 잘못된 ..

이 포스팅에는 아래의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. 1. 인터페이스 2.인터페이스의 상속 3. 인터페이스의 구현 4. 인터페이스의 장점 5. 인터페이스를 통한 다형성 - 직접적 관계 - 간접적 관계 6. defalt메서드 - static메서드 1. 인터페이스란? Interface - 일종의 추상클래스 - 추상클래스보다 추상도가 높다. - 한마디로 객체 사용 설명서라고 한다. - 실제 구현된 것이 하나도 없는 기본 설계도이다. - 추상메서드와 상수, 디폴트 메서드 만을 멤버로 가질 수 있다. ( static 메서드는 가능) -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다. (예제) 1 2 3 4 5 6 7 public interface A { void method(); //추상메서드선언 //public abstract 생략 - ..

이 포스팅에는 아래의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. 1. 추상클래스 2. 추상 메서드 3. 예제 1. 추상클래스란?(abstract class) - 추상메서드를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클래스 - 추상메서드는 선언부만 있고 구현부는 없는 클래스 - 완성된 설계도가 아니기 때문에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다. -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추상메서드를 구현해야한다. - 다른 클래스를 작성하는데 도움을 줄 목적으로 작성된다. 2. 추상 메서드 - 선언부만 있고 구현부는 없는 클래스 - 꼭 필요하지만 자손마다 다르게 구현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사용 - 추상 클래스의 일부 메서드만 구현할 때 그 클래스 앞에 abstract를 붙여야한다. 예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. 1 2 3 4 5 6 7 8 9 10 11 12 ..

이 포스팅은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 1. 다형성이란 2. 참조변수의 형변환 3. instanceof 연산자 4. 예제 1. 다형성이란? - 조상타입의 참조변수로 자손타입의 객체를 다룰 수 있는 것 - 다룰 수 있는 멤버 개수가 다르다( 예제에서 확인) - 조상타입의 참조변수로 자손타입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있지만 자손타입의 참조변수로 조상타입의 인스턴스를 참조할 수 없음 -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 경우 자손클래스의 메서드가 호출됨 2. 참조변수의 형변환 - 서로 상속, 구현관계에 있는 타입간 형변환이 가능하다. 자손-> 조상 형변환 (업캐스팅): 형변환 생략 가능 조상-> 자손 형변환 (다운캐스팅): 형변환 생략 가능 (예제)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..

이 포스팅에는 아래의 내용이 포함되어있습니다. 1. 제어자란? 2. 제어자 종류 3. 접근 제어자 4. 접근 제어자를 사용하는 이유 5. 제어자의 조합 1.제어자란? (modifier) - 클래스, 변수, 메서드의 선언부에 사용되어 부가적인 의미를 나타낸다. - 접근 제어자와 그 외 제어자로 나뉜다. - 하나의 대상에 여러 제어자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접근 제어자는 하나만 사용가능하다. 1.navtive : 자바가 아닌 다른 언어로 작성된 메서드들 호출할때 사용하는 것 2.transient : 직렬화에 많이 쓰인다. 직렬화 : 객체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만드는 것인데 다시 말해,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트림에 쓰기 위해 연속적인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을 말함. 3. Synchronized, vola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