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자바
- 이클립스 DB연동
- 정보처리기사실기
- 자바 if문
- 변수
- 자바 삼항연산자
- 조코딩
- 자바 반복문
- 자바 향상된 for문
- 자바 while문
- java
- 자바 자동캐스팅
- react ag grid
- 자바 스캐너
- 자바 공배수
- 자바 강제 캐스팅
- 프로그래머스
- 자바 구구단 출력
- MySQL
- 자바 public
- react with typescript
- TypeScript
- 항해99
- 항해99 2기
- Til
- 자바 for문
- 자바 조건문
- 타입스크립트
- 자바 switch문
- Vue3
- Today
- Total
목록WEB/Java Script (37)
뇌 채우기 공간
클래스 2021.04.23 - [WEB/Java Script] - [Java Script] 객체 생성자/ 프로토타입 공유/ 상속 [Java Script] 객체 생성자/ 프로토타입 공유/ 상속 객체 생성자 function Animal(type,name,sound){ this.type = type; this.name = name; this.sound = sound; this.say = function(){ console.log(this.sound); } } const dog = new Animal('개', '멍멍이','멍멍'.. sso-feeling.tistory.com 위의 내용을 클래스로 표현을 해보았다. class Animal{ constructor(type,name, sound){ this.type ..

객체 생성자 function Animal(type,name,sound){ this.type = type; this.name = name; this.sound = sound; this.say = function(){ console.log(this.sound); } } const dog = new Animal('개', '멍멍이','멍멍'); const cat = new Animal('고양이', '야옹이','야옹'); dog.say(); cat.say(); 객체를 생성한다. 파라미터로 받은 값을 넣어서 만들고 say라는 익명함수를 만들었다. 그런데 매번 함수가 새로 만들어지니까 객체마다 같은 함수를 가지도록 해보자 프로토타입을 사용한다. Animal.prototype.say = function(){ conso..

const alphabets = ['a','a','a','b','b','c','d','d','e'] const counts = alphabets.reduce((acc, current)=> { if(acc[current]){ // acc안에 current가 있냐 acc[current] += 1; } else { acc[current] = 1; } return acc; }, {}) console.log(counts); 기본값 비어있는 객체가 acc 이고 current 는 배열의 첫번째 값이다 if문을 통해 비어있는 객체인 acc에 'a'가 있는지 확인한다. 비어있으니까 없다. 그러면 else문을 통해 acc[a]를 1로 만든다 두번째 루프를 돌면 acc가 acc에 a에 1이 들어가있는 상태이고 current..

const numbers = [1,2,3,4,5]; let sum = 0; numbers.forEach(n=> { sum += n; }) console.log(sum); 같은 뜻을 가진 코드이다. reduce함수 const numbers = [1,2,3,4,5]; const sum = numbers.reduce((accumulator, current)=> accumulator + current, 0); console.log(sum); 어떻게 돌아가냐면 초기값 0 이 있다. 그게 accumulator가 된다. 그리고 numbers배열에 첫번째 값이 current가 되고 그 두개가 더 하기가 된다 그리고 초기값이 1이 되고 accumulator가 1 , current가 2가 된다(배열의 두번째 값) 그리고 ..

concat 배열 합치기 기존의 배열을 건드리지 않음 const arr1 = [1,2,3]; const arr2 = [4,5,6]; const concated = arr1.concat(arr2); console.log(concated); join 배열의 원소들을 문자열로 만들기 const array = [1,2,3,4,5]; console.log(array.join()); // 배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만든다 console.log(array.join(' ')); // 파라미터를 가지고 배열 원소들을 구분해서 문자열로 만든다 console.log(array.join('야'));