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java
- TypeScript
- 자바 자동캐스팅
- 자바 향상된 for문
- react with typescript
- 변수
- Vue3
- 이클립스 DB연동
- 자바 public
- 항해99 2기
- 자바 구구단 출력
- 자바 if문
- 자바 switch문
- 자바 조건문
- Til
- 자바 스캐너
- 정보처리기사실기
- 조코딩
- 항해99
- MySQL
- 자바
- 자바 for문
- 자바 삼항연산자
- 자바 while문
- react ag grid
- 자바 공배수
- 프로그래머스
- 타입스크립트
- 자바 반복문
- 자바 강제 캐스팅
- Today
- Total
목록WEB/Java Script (37)
뇌 채우기 공간

const numbers= [10,20,30,40]; // 앞에꺼부터 빠진다 const value = numbers.shift(); console.log(value); console.log(numbers); shift 맨 앞에 있는 원소 하나씩 꺼내는 것 const numbers= [10,20,30,40]; const value = numbers.pop(); console.log(value); console.log(numbers); pop 원소를 뒤에서 부터 하나씩 꺼내는 것 unshift 앞에서 부터 넣는 것 const numbers= [10,20,30,40]; numbers.unshift(5); console.log(numbers); push 뒤에서부터 넣는 것 const numbers= [10,20..

splice 기존의 배열에서 항목을 지우는 것 splice(index, 2); 이렇게 사용하는데 배열의 몇번쨰 index부터 몇개를 지우겠다는 뜻이다. 기존의 항목에 영향을 준다. 그리고 그 지워진 값은 배열로 반환된다. const numbers= [10,20,30,40]; const index = numbers.indexOf(30); console.log(index); // index 가 2임 const spliced = numbers.splice(index,1); // 인덱스가 2인 것부터 1개를 지우겠다. console.log(numbers); // spliced는 잘라진 것만 모아놓은 배열 console.log(spliced); slice 기존의 배열을 건드리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만든다 몇번쨰 ..

2021.04.23 - [WEB/Java Script] - [Java Script] 배열 내장함수 /forEach : 배열 안의 값 하나씩 출력하기/ map:배열을 활용하여 새로운 배열 만들기/ indexOf: 몇번째 index인지 알려줌/ findIndex: 특정 조건의 index를 알려줌 [Java Script] 배열 내장함수 /forEach : 배열 안의 값 하나씩 출력하기/ map:배열을 활용하여 새로운 배 const superheroes = [ '아이언맨', '캡틴 아메리카','토르','닥터스트레인지' ]; function print(hero){ console.log(hero); } superheroes.forEach(print); superheroes.forEach((hero)=>{ conso..

const superheroes = [ '아이언맨', '캡틴 아메리카','토르','닥터스트레인지' ]; function print(hero){ console.log(hero); } superheroes.forEach(print); superheroes.forEach((hero)=>{ console.log(hero); }) forEach함수 배열 안의 값을 하나씩 다 출력하기 map 배열에 있는 내용을 전체적으로 변화를 주고 싶을 때 const array = [1,2,3,4,5,6,7,8]; const square = n => n*n; const squared = array.map(square); console.log(squared); array배열의 안의 값들을 전부 제곱해서 새로운 배열로 만들어라 co..

const names = ['멍멍이', '야옹이', '멍뭉이']; for(let i = 0; i < names.length; i++){ console.log(names[i]); } for(let number of numbers){ // number은 배열 numbers안의 값을 의미한다 console.log(number); } for - of // 객체의 값을 받아 올 수 있는 방법 const doggy ={ name: '멍멍이', sound: '멍멍', age: 2 }; console.log(Object.keys(doggy)); console.log(Object.values(doggy)); 객체의 키를 받아오는 방법/ 객체의 값을 받아오는 방법 console.log(Object.entries(doggy..